구글맵에는 ‘타임라인’이라는 신박한 메뉴가 있다. 내가 어디를 갔었는지에 모든 동선을 자동 저장하는 기능이다. 구글 타임라인, 어떻게 활용할까?
사용자의 방문 기록을 자동으로 기록 저장해 주는 구글 타임라인. 그러나 자신의 동선이 그대로 기록되어 남는다는 것은, 때론 여행의 추억이지만 때로는 자기 정보 노출의 위험이 된다.
얼마 전 동료 여경과 부적절한 관계를 지속한 유부남 경찰관에 대한 재판에서 결정적인 증거로 작용한 것도 구글 타임라인의 기록이었다.
‘구글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구글맵에 들어가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의 경우 우선 구글맵을 깔고 앱을 열어보자.
구글 타임라인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위치기록’을 켜야 한다. 만약 타임라인에 들어갔을 때 아무 기록도 보이지 않는다면 위치기록이 비활성화 상태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자신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싶다면, 위와 같은 경로로 들어가서 위치기록을 ‘사용’이 아닌 ‘사용 중지’로 바꿔주면 된다.
타임라인 기록이 언제나 정확한 것은 아니다. 간혹 엉뚱하게 기록되므로 100% 신뢰는 금물이다. 다행히 잘못 기록되어 있는 경우 일부 기록을 삭제할 수도 있다.
잘못 기록된 정보를 삭제하려면, 오른쪽 상단의 점 3개 클릭 -> ‘설정 및 개인정보보호’ 선택 -> ‘모든 위치기록 삭제’, ‘지정된 기간의 위치기록 삭제’, ‘위치기록 자동 삭제’ 등을 이용하여 삭제하면 된다.